표적시장 접근 전략

(1) 비차별화 전략 : 세분 시장의 차이를 무시하고 동일한 마케팅 믹스로 전체 시장을 공략하는 전략이먀, 이때의 경쟁력을 가격이 된다. 원가절감을 통해 가격경쟁력의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 소비자의 욕구가 이질화되고 있는데 이를 파악하지 못하면 경쟁사의 위협에 쉽게 취약해진다. 이때는 집중화 혹은 차별화 전략을 펼쳐야 한다.
(2) 집중화 전략 : 여러 세분시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한다. 기업의 역량과 자원이 제한적인 중소 혹은 중견 기업이 주로 활용한다. 하나의 세분시장 만으로도 충분히 수익을 얻을 수 있을 때에도 사용한다. 시장 자체가 없어질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즉, 시장의 위험이 기업의 위험)
(3) 차별화 전략(2개 이상의 세분시장 공략) : 서로 각기 다른 마케팅 믹스로 공략한다. 제품이 최소 2-3개 필요하고 비용이 많이 들지만 소비자의 만족도는 높아지고 제품의 가격을 높일 수 있다. 차별화 전략을 통해 들어가는 비용보다 수익이 더 높다면 들어갈 만 하다. 세분시장의 겹침이 일어날 때 새로 유치한 브랜드 라인 등이 기존 소비자에게만 팔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자기자본잠식이라고 한다. 그만큼 비용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어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4) 고객 맞춤화 전략 : 소비자의 욕구가 굉장히 이질화되어 있어 고객 개개인별로 서로 다른 마케팅 믹스를 개발해야 한다. 단점으로는 비용이 많이 들지만 장점으로는 소비자의 만족을 통해 높은 가격대와 수익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고객 맞춤화에는 네 가지의 전략이 있다. 1. 고앵 개개인별의 니즈를 파악한다. 2. 유연한 생산라인이 구축되어야 한다.
마케팅 믹스 프로그램

댓글